# Why we do it: Rethinking sex and the selfish gene > ## 1부. 생명체의 이원성 ## 1부. 생명체의 이원성 ### 1장. 유전자에 집착하다 [유전자 선택론](https://wiki.g15e.com/pages/Gene%20selection.txt) 비판: > 우리가 지금까지 봐온 모든 것, 그러니까 아프리카 사바나를 횡단하는 영양의 무리, 한밤중에 운치 있게 우는 부엉이, … 심지어 콘서트장에서 노래를 하는 영국의 록그룹 <비틀스> 까지, 이들 모두 다른 <유전자>를 제치고 자신의 유전자를 후대에 남기겠다는 목표 하나로 이와 같은 행동 양식을 보인다는 말인가? … 오늘날 <진화생물학>의 양상을 보면 오직 유전자라는 주제 하나로 자연계의 모든 현상을 설명하려고 하는 과도한 욕심을 부리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든다. --p16 저자는 생물학계가 과도하게 유전자에만 집착을 하고 있다고 말한다. 그리고 그 원인은 학자들 간의 권력다툼이라고 설명: > 그런데 이렇게 된 것은 생물학계의 힘겨루기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. , <유전자>와 <염색체>의 화학 구조를 규명하고 이들의 기능을 밝히려는 <분자생물학>이 학계 및 일반으로부터 많은 관심을 끌면서 진화유전학은 학계의 변경으로 밀려나게 되었다. … 분자생물학은 돈이 많이 들어가는 학문이다. … 진화생물학자들은 분자생물학자들의 급격한 부상에 위기를 느끼고 이에 대응하기 시작했다. 좀 더 순수하게 학문의 목적에 접근하자는 학계의 자성도 있었지만, 돈과 연구 공간과 일반의 인기를 놓고 벌이는 진화생물학과 분자생물학 사이의 경쟁은 날이 갈수록 치열해졌다. … 이러한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 진화생물학자들은 [1960년대](https://wiki.g15e.com/pages/1960s.txt) 이후 [다윈](https://wiki.g15e.com/pages/Charles%20Darwin.txt)의 진화론에 유전자 개념을 접목시켜 새로운 이론들을 내놓기 시작했다. 유전자에 대한 생물학계의 집착이 시작된 것도 이때부터라고 할 수 있는데, 얼마 뒤 소개된 가장 유명한 개념이 바로 [이기적 유전자](https://wiki.g15e.com/pages/The%20selfish%20gene.txt)이다. --p16-18 ### 2장. 닭과 달걀: 생명의 두 가지 측면 극단적 진화론: > 나는 앞으로 유전자를 중심으로 생물의 진화에 접근하려는 시도를 극단적 진화론이라고 부를 것이다. 이 극단적 진화론을 내세우는 사람들은 어떤 구조물(생물)을 만드는 설계도(유전자)가 있기에 구조물이 존재하는 것이므로 설계도가 구조물 자체보다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. 구조물이 존재하는 유일한 이유가 설계도를 후대에까지 전달하는 것이라면서 말이다. --p29 [유전자 선택론](https://wiki.g15e.com/pages/Gene%20selection.txt)에 대해: > 생물이 유전자를 위해 만들어진 방편이나 수단에 불과하다면 그러한 생물 자신이 다음 세대로 특정 형질의 유전자가 다른 유전자들보다 더 많이 전달되는지에 관심을 가질 이유가 무엇이 있겠는가? 게다가 염색체에 기록된 정보에 불과한 유전자가 어떻게 더 많은 영역을 차지하기 위한 욕심을 부릴 수 있다는 것인지 모르겠다. --p47 ### 3장. 자연 생태계의 질서 ### 4장. 자손 출생의 결과 ### 5장. 경제적인 측면 + 자손 + 시간 = 진화 화석기록에 따르면 생물의 진화는 좀처럼 일어나지 않는다: > [다윈](https://wiki.g15e.com/pages/Charles%20Darwin.txt)도 처음에는 환경이 변하면 변한 환경에서 살아가기에 더 적합하도록 생물들의 특징도 변하고 이 과정에서 [자연선택](https://wiki.g15e.com/pages/Natural%20selection.txt)이 이루어진다는 단순한 논리를 폈다. > > 그러나 실제로는 환경이 변하면 생물들이 해부학적인 변화를 통해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아니라 종의 분포도가 변한다. … 빙하기에 관한 연구가 상당히 진척되면서 학자들은 생물들의 생존 능력에 관해 충격을 받았다. <지구> 북반구의 상당 부분을 빙하가 뒤덮어 극심한 환경 변화가 일어난 시대에도 실제로 멸종된 생물 종은 전체 생물 종에 비하면 거의 없다고 봐도 좋을 정도로 적었기 때문이다. … 대부분의 생물이 빙하의 전진과 후퇴에 맞춰 남쪽과 북쪽을 오르내리며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해 살아갔다. … > > 하지만 환경 변화가 생물들이 도저히 따라갈 수 없을 정도로 빠르고 광범위하게 일어나는 경우 상황은 전혀 다르게 전개된다. 이로 인해 살기에 적합한 서식지를 쉽게 찾아낼 수 없을 때 생물들은 새로운 종으로 진화하거나 절멸하거나 둘 중 한 길을 걷게 된다. --p91-93 ### 6장. 클론과 콜로니 그리고 생물의 사회성 <사회생물학> 비판: > 사회생물학자들은 이렇게 어떤 군체에 속한 개체들이 서로 유전정보를 많이 공유할수록 협동적이 될 가능성이 그만큼 더 높아진다는 주장을 펼쳐왔다. 하지만 <척추동물>들의 사회로 들어가보면 이러한 주장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. "나도 아이를 낳을 수 있지만 그 기회를 포기하고 네가 아이를 낳을 수 있도록, 그리고 아이를 잘 키울 수 있도록 도와줄게. 왜냐하면 네가 아이를 낳는 것은 내가 아이를 낳는 것과 마찬가지니까 말이야." 어류, 조류, <포유류>, 어떤 동물을 봐도 <척추동물>한테서는 이런 장면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. <영장류>나 인간을 봐도 마찬가지이다. --p118-119 ## 2부. 인간의 이원성 ### 7장. 아주 이상한 생물 종: 인간의 생태 ## 3부. 인간 생활의 삼요소 ### 8장. 생식 활동에서 분리된 성행위 ### 9장. 인간의 성에 대한 고찰: 섹스, 권력, 돈 그리고 아기 ### 10장. 다양한 사회시스템 안에서 섹스, 경제활동, 출산이 갖는 의미 <강간>은 분노의 표출이라는 주장: > 강간은 힘이 있는 자보다는 오히려 힘이 부족한 자가 자신을 표현하는 한 방식이다. 오랜 연구 결과 심리학자나 사회학자들은 강간은 분노의 표출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. 자신에게 역량이 부족하다는 점을 자각하고 열등감에 빠져 있던 남성들이 주로 여성을 상대로 보이는 노골적인 적대감이 불특정 다수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극단적인 폭력 형태인 강간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. --p193